Dev/ Paul Tech Blog

[Daily] 블로그 리뉴얼

블로그를 갈아엎었다. 그것도 아예 새로운 테마로. 블로그가 새로워졌어요! 갑자기 뭔 바람이 불었냐고? 바람이 분건 아니다. 단지, 기존 블로그가 엉켜버렸다. 이유는 깃허브 때문이었다. NeoVim Configuration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던 중, 중간 점검을 하려고 깃허브에 커밋을 했다. 그런데 이게 웬걸? Deploy가 안되는 증상이 생겼다. 처음에는 너무 당황해서 얼을 조금 탔다. 원인 파악도 정확히 안되고, 무엇 때문에 문제인지 파악하려고 계속 Commit하고 Revert하는 것을 반복했다. 슬슬 짜증이 올라오려는 찰나에, Commit을 진행한 상태로 Staging Area에... Read more

[CS] 알고리즘(재귀)편

CS 부수기 - 알고리즘 (재귀) 편 0. Recursion Algorithm 어느 한 컴공과 학생이 교수를 찾아갔다. 학생 : 교수님, 재귀 함수가 뭔가요? 교수 : 봐봐, 옛날에 학생이 하나 있었어. 그 학생이 교수를 찾아가 이렇게 물었지. 학생 : 교수님, 재귀 함수가 뭔가요? 교수 : 봐봐, 옛날에 학생이 하나 있었어. 그 학생이 교수를 찾아가 이렇게 물었지. 학생 : 교수님, 재귀 함수가 … 재귀 함수(Recursion Function)의 정의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다... Read more

[CS] 알고리즘(정렬)편

CS 부수기 - 알고리즘 (정렬) 편 0. 정렬 알고리즘 이번 편은 본격적인 정렬 알고리즘(Sorting Algorithm)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전 편에서 다룬 탐색 알고리즘과 정렬 알고리즘에서의 안정성은 다음 링크를 확인하면 된다. --- 탐색 알고리즘 --- --- 정렬 알고리즘 안정성 --- 1. Selection Sort Algorithm 첫 번째로 알아볼 정렬 알고리즘은 선택 정렬 알고리즘이다. 정의는 다음과 같다. 선택 정렬 알고리즘(Selection Sort Algorithm) : 해당 순서에 원소를 넣을 위치는 이미 정해져 있고, 어떤... Read more

[CS] 알고리즘(정렬 : 안정성)편

CS 부수기 - 알고리즘 (정렬 : 안정성) 편 0. 정렬 알고리즘이란 이번 편은 정렬 알고리즘(Sorting Algorithm)과 안정성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전 편에서 다룬 탐색 알고리즘은 다음 링크를 확인하면 된다. --- 탐색 알고리즘 --- 정렬 알고리즘의 정의는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Sorting Algorithm : 컴퓨터 과학과 수학에서 정렬 알고리즘은 원소들을 번호순이나 사전순과 같이 일정한 순서대로 열거하는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다른 알고리즘 혹은 최적화 시에 매우 중요하며, 가시성과 가독성을 향상시킨다. 정렬 알고리즘에는 다음과 ... Read more

[CS] 알고리즘(탐색)편

CS 부수기 - 알고리즘 (탐색) 편 0. 알고리즘이란 드디어, 코딩의 꽃 알고리즘으로 오게 되었다. 알고리즘(Algorithm)의 정의는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Algorithm : 국어로는 셈법이라고도 하며 수학, 컴퓨터 과학, 전산 언어학 등에서 문제 해결 방법을 정의한 단계적 절차이자 문제 해결을 위한 동작들의 모임 이렇게 정의된다. 우리가 전공하는 컴퓨터에서의 알고리즘은, 크게 탐색과 정렬이 있다. 조금 더 세부적으로 뻗어나가면 완전 탐색, 그리디(Greedy, 탐욕법) 알고리즘, 최단 경로(Dijkstra) 등이 있다. 그 중 오늘은 탐색 알고리즘부터...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