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 Paul Tech Blog

[CS] 번외, 시간 복잡도 편

CS 부수기 - 시간 복잡도 편 시간 복잡도 자료 구조를 공부하면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 시간 복잡도이다. 자료 구조에서 자료의 삽입, 삭제, 탐색을 위한 시 / 공간적 소요량 혹은 알고리즘에서의 성능 분석에 많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큰 영역으로는 복잡도라고 부르며, 크게 시간 복잡도(Time Complexity)와 공간 복잡도(Space Complextiy)로 나눠진다. 정의는 다음과 같다. 시간 복잡도 : 입력과 문제를 해결하는데 걸리는 시간 사이의 함수 관계 공간 복잡도 : 프로그램이 실행 시에 필요로 하는 자원 공간의 양 일반적으로는 시간 복잡도를 많이 요구하는 편이... Read more

[CS] 비선형 자료 구조 편

CS 부수기 - 비선형 자료 구조 편 0. 들어가며, Nonlinear Data Structure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선형 자료 구조에 대해서 알아본다. 선형 자료 구조에 대해서는 포스팅을 확인하면 된다. 비선형 자료 구조(Nonlinear Data Structure)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비선형 자료 구조 : 하나의 원소 뒤에 여러개의 원소가 따라오는 것을 말하며 1:다 혹은 다:다의 형태를 띄는 자료구조 대표적인 비선형 자료 구조에는 그래프(Graph), 트리(Tree), 힙(Heap)이 있다. 1. Graph 그래프(Graph)란, 정점(Node or Vertex)과... Read more

[CS] 선형 자료 구조 편

CS 부수기 - 선형 자료 구조 편 0. 들어가며 본격적으로 기술 면접을 준비하며 Computer Science의 전반야에 대해 하나씩 정리해 나가려고 한다. 그 첫번째는 선형 자료 구조(Linear Data Structure)편이다. 참고로 이 정리본은 내가 공부하기 위해 만들었고, 추후에도 지속적으로 보완해갈 예정이다. 단순히 현재 취업만을 위해 쓰일 것도 아니며, 이후에 이직을 하거나 또 다른 면접을 위해서도 사용할 예정이기에 최대한 간결하면서도 직관적으로 적어나갈 생각이다. 1. Linear Data Structure 자료 구조에는 크게 선형 자료 구조(Linear Data ... Read more

[Daily] 상반기를 마치며

상반기를 마치고 하반기를 시작하며 나의 일기 오랜만에 블로그를 끄적거린다. 막상 열심히 관리해볼 생각으로 열어놨는데 쓰기도 귀찮고, 쓸 내용도 없고, 시간도 없다는 핑계로 계속 뒤로 미루지 않았나 싶다. 많이 나태해지고 게을러졌다. 무기력증에 빠진 듯, 종강하고 제대로 한 것도 없는 느낌이 크다. 뭔가 이것저것 한 거 같은데 뒤돌아보니 남는게 없는 느낌이다. 막연하게 취업하고 싶다는 생각에 준비도 안된 느낌인데 매일같이 찾아보는 공고들, 스스로가 찔려서 감정없이 의무적으로 하는 1일 1커밋과 코테 문제 풀기… 나이는 점점 차고 쓸데없는 주변의 시선에 무언의 압박을 느끼며 스스로 위안삼으... Read more

[Git] About Git & Github

개발자의 목숨줄을 파헤쳐보자! 0. 들어가며 무릇 개발자라면, Git과 Github을 안들어봤다면 가히 개발자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만큼 개발자에게 Git과 Github은 필수불가결하다. 그렇다면 Git과 Github의 시스템에 대해 알고 쓰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일단 필자는 몰랐다) 그래서 오늘은 간단하게 Git과 Github에 대해 좀 알아보고자 한다. 1. Git이란? 먼저 Git이란 무엇일까. Git은 분할 버전 관리 시스템, 영어로는 Distributed Version Control System이라고 칭한다. 흔히들 개발자들 사이에서는 VCS라고 하면 알고 있는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