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 소수 찾기 Feat.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소수 찾기와 에라토스테네의 체
개발을 거의 처음 배운다면, 한번쯤은 소수와 관련된 코드를 작성하게 된다.
제일 대표적으로는, “0 ~ N 사이에 있는 소수를 출력하시오.” 또는 “0 ~ N 사이의 소수 개수를 구하시오.” 라는 형태의 문제들이 많으며 거의 대체적으로는 이중 반복문을 이용하여 해결한다.
하지만 오늘은 조금 다른 방법을 이용해서 해결해보고자 한다.
바로,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를 이용한 방법이다.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인 에라토스테네스는 소수를 찾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기존의 소수를 찾는 방법이라 하면(코딩에서도 그렇고), N이라는 수를 N - 1까지 모두 나눠보며 나머지가 0이 되는지 안되는지 확인을 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코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
# num까지의 소수 개수 구하기
num = 10
count = 0
for i in range(1, num + 1):
if i == 2:
count += 1
else:
for j in range(2, i):
if i % j == 0:
break
elif j == i - 1:
count += 1
print(count)
가장 익숙한 방법이며, 우리가 코딩을 배우면서 소수를 구할 때 가장 많이 쓰는 코드 중 하나일 것이다.
하지만 이 코드의 가장 큰 문제점은, 시간 복잡도를 고려하지 않은 코드라는 것이다.
개발을 조금만 배우다 보면, 특히 이러한 알고리즘과 관련된 문제를 풀 때 시간 복잡도에 대한 개념이 꽤나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실제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는 코딩 테스트들에서도 이러한 시간 복잡도의 문제를 꽤나 중요하게 다룬다는 것을 조금만 연습해보면 바로 알게 된다.
필자가 작성한 블로그에도 이러한 시간 복잡도에 대한 내용이 있다.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하길 바란다.
그렇다면, 이러한 소수 찾기 문제의 경우 어떤 방식으로 시간 복잡도를 줄일 수 있을까.
바로 위에서 기술한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이용하는 것이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에 대한 개념은 다음과 같다.
다음과 같이, 1부터 25까지 수를 나열해보자.
여기에서, 1은 소수에도 합성수에도 해당되지 않는 수 이기에 제외해준다.
다음은 2이다. 2는 소수이다. 하지만, 2의 배수들은 최소한 2를 약수로 갖기에 소수가 아니다. 때문에, 2를 제외하고 2의 배수는 모두 지워준다.
다음은 3이다. 3도 2와 마찬가지로 소수이다. 하지만, 3의 배수들은 최소한 3을 약수로 갖기에 소수가 아니다. 때문에, 3을 제외하고 3의 배수들은 모두 지워준다.
다음은 4인데, 4는 2의 배수이므로 지워줄 필요 없이 이미 지워진 상태이다.
그 다음은 5인데, 5는 소수이지만 마찬가지로 5의 배수는 소수가 될 수 없다. 때문에 5를 제외하고 모든 5의 배수를 지워준다.
그러면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이 소수들만 남게 된다.
25를 기준으로 5까지만 비교했는데 나머지 소수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게 되었다.
이것이 바로 에라토스테네스가 발견한 소수의 특징이다.
N이라는 수까지 나열되어 있는 상태에서 소수만 찾고 싶다면, N의 제곱근까지만 비교하여 그 배수들을 정리하면, N의 제곱근의 배수에 해당하지 않는 수들은 모두 소수임을 증명한 것이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이다.
위의 그림들에서 우리는 1부터 25까지의 수들 중에서 소수를 찾고 싶었기에, 25의 제곱근인 5까지만 비교해보면 소수를 모두 찾을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를 코딩으로 풀어낸다면 어떻게 풀 수 있을까.
필자는 2가지의 방법을 생각했다.
정석적인 방법은 내가 찾고자 하는 수(앞으로는 n으로 정의한다)까지 리스트에 정렬한 후, n의 제곱근의 배수들을 모두 리스트에서 지워나가며 최종적으로 남은 수들을 반환하는 방식이다.
코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mport math
num = 100
num_list = [i for i in range(2, num + 1)]
for i in range(2, int(math.sqrt(num)) + 1):
for j in range(i + i, num + 1, i):
if j in num_list:
num_list.remove(j)
print(num_list)
하지만, 이런 방법도 가능하다.
num_list
라는 리스트를 생성 후, n까지의 모든 수를 비교하며 소수의 경우 num_list
에 추가해주는 방법이다. 단, 여기에서 조건은 n의 제곱근까지만 나눠가며, n이라는 수가 n의 제곱근보다 작은 수들에서 약수를 갖는지 확인 하고, 약수가 있을 경우에는 False
를, 약수가 없다면 True
를 반환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반환한 값에 따라, True
일 경우 위에처럼 리스트에 추가해주고, False
일 경우에는 추가하지 않는다.
코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num_list = []
n = 100
def prime_num(num):
for i in range(2, int(math.sqrt(num) + 1)):
if num % i == 0:
return False
return True
for i in range(2, n + 1):
if prime_num(i):
num_list.append(i)
print(num_list)
prime_num
이라는 함수는 파라미터로 넘어오는 num
에 대해서 num
의 제곱근까지만 수를 나눠본다.
이 때, 나누어 떨어진다면 False
를 반환하고, 최종적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수가 없다면 소수로 판단하고 True
를 반환한다.
이렇게 반환된 수들은 num_list
에 저장되고, 최종적으로 num_list
는 모두 소수만 담게 되는 것이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는 이 정도로 정리할 수 있다.
그럼, Ad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