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 Paul Tech Blog

[Jungle] WIL : Week-1[2]

크래프톤 정글에서의 1주차를 마치는 Week-I-Learn [2] 해당 글은 Notion TIL & WIL DB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5.07.15 Brute-Force & Back Tracking Brute-Force란 모든 경우의 수를 체크해서 정답을 찾는 방식 e.g., 4자리 정수 비밀번호 탐색 시에 0000 ~ 9999까지 모든 경우의 수를 다 탐색하는 것 쉽게 보면, 반복문과 조건문 만으로 모든 경우를 만들어 답을 구하는 것 하지만, 일반적으... Read more

[Jungle] WIL : Week-1 [1]

크래프톤 정글에서의 1주차를 마치는 Week-I-Learn [1] 해당 글은 Notion TIL & WIL DB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5.07.12 ~ 13 재귀 함수와 꼬리 재귀에 대하여 재귀 함수란 자기 자신을 참조하는 함수를 의미 Base-Case 즉, Return 문이 꼭 있어야함 함수를 호출할 때에는, 이전과 달라진 값을 넣어야 함 👍 Pros 재사용성이 좋음 (모듈화 및 함수화가 가능) 변수 사용이 줄어든다. 👎 Cons ... Read more

[Jungle] WIL : Week-0

크래프톤 정글에서의 0주차를 마치는 Week-I-Learn 2025.07.09 이모지의 글자수 처리 알아보게 된 배경 웹상에서 input 혹은 textarea에서 입력값에 대한 글자수를 처리해야함 여기서 문제는, 이모지의 경우 이모지 하나당 적게는 2자에서 많게는 6자 이상으로 인식이 되는 Issue가 발생 이모지를 한글자로 처리할 수 없을까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던 중 알게 된 내용 컴퓨터에서 글자수를 처리하는 단위 Bytes : Memory 혹은 Storage상에서 Unicode String이 몇 Byte를 ... Read more

[Algorithm] 소수 찾기와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프로그래머스 - 소수 찾기 Feat.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소수 찾기와 에라토스테네의 체 개발을 거의 처음 배운다면, 한번쯤은 소수와 관련된 코드를 작성하게 된다. 제일 대표적으로는, “0 ~ N 사이에 있는 소수를 출력하시오.” 또는 “0 ~ N 사이의 소수 개수를 구하시오.” 라는 형태의 문제들이 많으며 거의 대체적으로는 이중 반복문을 이용하여 해결한다. 하지만 오늘은 조금 다른 방법을 이용해서 해결해보고자 한다. 바로,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를 이용한 방법이다.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인 에라토스테네스는 소수를 찾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기존의 소수를 찾는 방법이라 하면(코딩에서도 그렇... Read more

[Devlog] 나의 NeoVIM Configuration

내가 세팅한 NeoVim Configuration 0. 들어가며 어느날 열심히 Visual Studio Code를 쓰는데, 뭔가 예쁘지가 않으니 코딩할 맛이 안나더라. 사실 코딩하기 싫었다 그래서 예쁜 에디터를 찾던 와중, 일본의 개발자이자 유튜버인 devaslife의 영상을 보게되었다. 오.. 생각보다 저 에디터 예쁜데.. 뭐지? 해당 유튜버의 영상들을 찾다보니 에디터가 NeoVim인걸 알게 되었고, 마침 맥이 작업환경이던 나는, 마침 전 학기 수업에서 리눅스 시스템에 대한 기본을 배웠던 나는, “한번 써볼까?” 를 시전하며 NeoVim을 설치했고, 그렇게 Vim의 세계로 여행을 떠났... Read more